이시간에는 김프값을 파이썬으로 구해볼건데요. 아무래도 설치부터 실제 결과값이 도출되는 장면은 영상으로 보여주는게 나을 것 같아서 본글에는 프로세스만 글로 풀어보고 자세한 건 영상으로 제작한후에 아래 링크에 남기겠습니다.
라이브러리 설치
이전시간에 설명한것처럼 먼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합니다.
ccxt라는 건데요. ccxt는 전세계 가상화폐거래소들의 코인가격정보, 잔고조회, 매수매도주문등을 쉽게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당연히 자신만의 거래소api를 신청해서 키값과 패스워드도 있어야 합니다.
저는 비주얼스튜디오코드를 사용하는데요. 터미널에서
pip install ccxt또는 python -m pip install ccxt
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설치가 되는데요. 그다음에 본문(여기선 김프매매.py 이겠죠?)의 가장 윗줄에
import ccxt
라고 입력하면 ccxt가 본문에 호출이 되고,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여기까지 했으면 우리는 본문에 업비트의 가격정보와 바이낸스의 가격정보, 그리고 매수매도주문까지 할수 있는 재료가 생겼습니다.
김프값 구하는 공식
다음으로는 김프값구하는 공식을 생각해보겠습니다.
1강에서 이야기한것처럼 김프, 김치프리미엄은 국내거래소(여기선 업비트)와 해외거래소(여기선 바이낸스)간의 가격차이라고 했죠?
즉 김프구하는 공식은
(업비트가격-바이낸스가격*환율)/(바이낸스가격*환율)*100=김프값
참쉽죠?
디테일하게 보자면 분모값에 '바이낸스*환율' 대신'업비트가격'을 집어넣어도 상관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김프값의 변화율이기 때문에 어떤값을 집어넣어도 김프매매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그리고 환율구하는 함수는 이전시간에 예시로 들었는데요. 다시한번 써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환율정보를 제공하는 api가 여러곳인데요. 그중에 입맛에 맞는걸 직접 고르셔도 됩니다. 저도 이곳저곳 검색하다가 가장 코드가 단순해보여서 선택했어요.
이제 '김프자동매매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재료가 다 준비가 되었습니다. 서두에 말한것처럼 글로써 결과값과 코딩과정을 다 보여드리는건 한계가 있어서 코딩과정영상을 찍고나면 아래링크에 남겨놓겠습니다.
(아직 영상찍기전이에요...)